세상의 모든 아름다운 것들을 위하여
블로그 관리자가 지정한 포스트입니다.
가장 최근 작성된 글 목록입니다.
3D 캐릭터가 중심이 되는 서브컬처 게임의 로비 디자인을 기획하는 업무를 맡으셨나요? 그리고 해본 적이 없는 일이라 막막하신가요? 이번 글에서는 로비 디자인을 기획하기에 앞서 어떤 ‘고민’과 ‘준비과정’이 필요한지, 그리고 기획의 첫 삽을 뜨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실무에서 다이얼로그 시스템을 구현해야한다면 무엇부터 준비해야할까요? 프로그래머가 당장 오늘까지 기획서를 달라고 하면 무엇부터 전달해야 할까요? 유지보수가 오래 걸리지 않는 다이얼로그 테이블 설계를 위해서는 어떤 것을 고민하면 좋을까요? 이런 질문에 답하기 위해 준비한 글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게임 업계에 들어오기 전 2019년에 작성한 포트폴리오입니다. 주제는 ‘마비노기 영웅전’으로, 왜 마비노기 영웅전이 시나리오 라이팅에서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었는지 당시의 시각으로 분석한 글입니다.
24년 봄 스타레일은 페나코니와 아케론 소식으로 뜨겁습니다. 나날이 매출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미호요 유니버스의 매출 비결은 무엇일까요? 서브컬처 게임이 앞으로도 오래 사랑받기 위해서는 어떤 행보를 걸으면 좋을지 한번 생각해보았습니다.
최근 서브컬처 게임의 대화 시스템은 3D캐릭터를 활용한 비주얼 노벨 구조를 기반으로 개발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3D 비주얼 노벨 기반 시스템을 기획할 때 어떤 식으로 청사진을 그리면 좋을지 알아보았습니다.
네트워크에 관해서는 전혀 문외한인 워드프레스 블로거가 호스팅 업체를 바꾸려다 블로그가 통째로 날아갈 뻔한 경험담과 소소한 호스팅 마이그레이션 팁을 담은 글입니다.
넷플릭스 오리지날 애니메이션 ‘사이버펑크: 엣지러너’는 CDPR과 트리거가 합작하여 만든 최고의 SF 애니메이션입니다. 이 작품은 ‘진부한’ 사이버펑크가 앞으로 어떻게 변해갈지 그 비전을 제시합니다.
최근 가장 핫한 서브컬처 게임 중 하나인 ‘붕괴: 스타레일’에서는 필살기를 연출을 어떻게 만들까요? 이번 글에서는 스타레일에서 내로라하는 매력있는 두 캐릭터, 경류와 완매의 필살기 연출 분석을 해보았습니다.
2024년 게임산업에도 새해가 시작한 뒤 어느덧 3개월이라는 흘렀습니다. 국내외를 막론하고 그 어느때보다도 고용불안정이 높아져가는 시기입니다. 한편, 서브컬처 장르적 코드를 내세운 작품들이 올해 꾸준히 선보일 예정인데요, 이번 글에서는 2024년 게임산업에서 주목해야 할 세 가지 주제에 대해 다뤄보았습니다.
란스 X의 전투는 짧으면 수 초에서 수십 초만에 끝납니다. 짧은 전투이지만 그 전투에서 우리는 어떤 즐거움을 느낄 수 있을까요? 이번 글에서는 란스 X 전투 다이내믹스를 통해 한 번의 전투 흐름에서 플레이어가 어떤 경험을 하는지 살펴보았습니다.
<재정비 주간>
블로그 재정비 진행 중입니다.
18+ (6) FastComet (2) SF (3) UXUI (6) 게임 개발 (23) 게임 모션 기획 업무 가이드 (5) 나니노벨 (46) 란스 X (3) 란스 시리즈 (3) 미연시 (3) 붕괴3rd (5) 브라운더스트 2 (4) 블루아카이브 (4) 비주얼 노벨 (2) 서브컬처 (19) 스타레일 (12) 시나리오 (5) 연출 (12) 온보딩 경험 분석 (3) 우마무스메 (3) 워드프레스 (3) 이벤트 (3) 창세기전 (6) 초단편 (6) 캐릭터 (16) 컨셉 기획 (5) 쿡앱스 (3) 템페스트 (5) 피드백 (4) 협업 시리즈 (4)